본문 바로가기

Flutter

[Flutter] FVM (Flutter Version Management) 사용 방법 (Windows)

"FVM이란?"

FVM = Flutter Version Management

fvm은 각 프로젝트 별로 Flutter SDK 버전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라이브러리이다. (https://fvm.app/)

만약 fvm이 없다면, 한창 개발하고 있는 혹은 이미 개발이 완료되어 출시된 앱을 플러터 버전을 맞추기 위해 매번 수정해야하고, 이를 피하기 위해 프로젝트의 플러터 버전을 유지한다면 프로젝트마다 버전을 다시 설치해야한다. 혹은 협업을 할 때 개발자마다 가지고 있는 플러터 버전이 다를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생긴다.

이러한 비효율을 피하기 위해 fvm은 개발자가 플러터 버전을 원하는 것으로 골라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

 

FVM 설치(Windows 기준)

1. 먼저, 터미널이나 명령프롬프트를 열고 아래 명령을 실행한다.

dart pub global activate fvm

 

2. 환경변수 설정을 해주면 된다. 시스템 환경 변수 편집 > 고급 > 환경변수 > 사용변수 > Path에

C:\Users\사용자이름\AppData\Local\Pub\Cache\bin
C:\(플러터 저장 위치)\flutter\bin\cache\dart-sdk\bin

이렇게 두 개를 환경변수로 저장하면 된다.

 

3. 아래 명령을 실행해서 사진과 같이 뜨면 제대로 설치가 된 것이다.

fvm help

 

FVM 사용하기

 

내 컴퓨터에 깔려있는 플러터는 지금 3.3.2버전인데 fvm에는 설치된 flutter SDK가 없다고 뜬다. 아예 별개로 fvm은 fvm 내부에서 관리된다고 생각해야한다. fvm에 사용하던 버전 설치부터 해보자.

 

1. 터미널에 아래 명령어를 통해 새로운 버전을 설치한다.

fvm install (사용할 버전)
fvm install stable

'fvm list'를 통해 잘 설치됐는지와 fvm 내에 어떤 버전이 설치되어 있는 지 확인할 수 있고 'fvm flutter --version'을 통해 현재 fvm에서 사용중인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

 

2. 버전을 바꿀 때는 아래 명령어를 쓰면 된다.

fvm use (플러터 SDK 버전)

※ 만약 윈도우 10을 사용 중이라면 꼭 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열어서 실행하자(후 찾느라 고생했다..)

 

3. 마지막으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해당 프로젝트가 fvm의 버전을 참조하도록 설정을 바꿔주면 된다.

File > Settings > Languages&Frameworks > Flutter > Flutter SDK Path로 들어가서 아래 사진처럼 바꾼다.

(각 프로젝트마다 설정해야 한다.)

flutter SDK path에 프로젝트 파일 내에 있는 \.fvm\flutter_sdk로 끝나는 주소를 넣어주면 된다.

(만약 프로젝트 파일 안에 .fvm폴더가 보이지 않는다면 관리자 권한으로 Powershell 사용 중인지 한번 확인 해보자.)

(프로젝트 주소)\.fvm\flutter_sdk

 

이제 프로젝트를 새로 만들면 3번 내용만 다시 설정해주고 fvm을 사용하면 된다.